King County Navigation Bar (text navigation at bottom)
Public Health - Seattle & King County
Site Directory

Public Health Webpage Directory

Public Health Center & Office Locations

For Care Providers

Health Advisories & Resources

For Educators

Health Educators Toolbox

About Us

History & Profile

Jobs

Employee Directory

Contact Us

Public Health
Seattle & King County
401 5th Ave., Suite 1300
Seattle, WA 98104

Click here to email us

Phone: 206-296-4600
TTY Relay: 711

magnifying glass Advanced Search
Search Tips
Home » Communicable disease facts » Influenza facts in Korean

Communicable Diseases and Epidemiology
인플루엔자( “유행성 독감”) 및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즉 "유행성 독감"이란 무엇인가?

인플루엔자 즉,"유행성 독감"이란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전염성 호흡계 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의 심각한 주요 합병증은 폐렴 및 만성적인 건강 악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유행성 독감은 어떻게 전파되는가?

  • 유행성 독감은 주로 독감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호흡기 분비물" 즉, 비말(예: 가래, 침 및 점액)을 통해 사람끼리 전파되는데, 감염된 사람이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전파됩니다.
  • 이런 비말은 아픈 사람 가까이(약 9 – 18 미터 이내) 있는 사람의 입, 코 및 목에 닿을 수 있습니다.
  • 또한 독감은 감염된 사람의 손 및 기타 물건 및 표면에 있는 전염성 호흡기 분비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독감에 걸리면 어떠한 증상이 발생하는가?

독감에 걸린 사람은 “전신에 통증” 을 느낍니다.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고열, 오한, 허약, 식욕 감퇴 및 머리, 허리, 팔, 다리의 통증.
  • 인후염 및 기침, 메스꺼움, 및 눈 쓰라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고열(104° F까지 오를 수 있음) 및 기타 심각한 독감 증상은 3~7일 지속되지만 더 오랜 기간 동안 피로와 허약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유아와 어린이의 경우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합병증으로는 탈수, 폐렴 및 기타 천식, 기관지염, 심장병 및 당뇨병 같은 건강 악화가 있습니다.

독감은 심각한 질병으로 간주되는가?

  • 건강한 성인이나 아동들에게 독감은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심각한 질병입니다.
  • 한 살 이하의 어린이 및 당뇨, 천식, 심장 또는 폐에 만성적 문제가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독감이 매우 심해질 경우 입원을 하거나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독감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독감 및 독감 합병증은 어떻게 예방하는가?

  • 최선의 독감 예방법은 백신을 맞는 것입니다. 예방접종은 인체의 면역체계가 독감 바이러스와 싸우는 것을 돕습니다.
  • 손을 자주 씻거나 알코올 계열의 손 소독제를 사용하며 기침할 때는 입과 코를 가리십시오.
  • 아픈 사람과 가까이 접촉하지 마십시오.
  • 열과 기침이 날 때에는 직장과 학교를 쉬십시오.

독감 및 독감 합병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 고열 또는 기타 심각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 합병증이 없는 독감의 경우 의사가 수분을 섭취하고 집에서 쉬라고 말할 것입니다.
  • 위험이 높은 사람에게는 독감을 치료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의사가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할 수 있지만, 이는 감염 초기에, 일반적으로 48시간 내에 투약해야 합니다.
  • 독감에 노출된 사람에게도 감염을 막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 항생제는 독감에 효과가 없습니다.

누가 독감 백신을 맞아야 하는가? 예방접종은 독감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과 다른 사람에게 독감을 전파할 수 있는 사람에게 권장됩니다:

  • 6 -59개월 연령의 모든 유아
  • 50세 이상의 모든 사람
  • 독감 시즌에 임신하는 여성
  • 심장 질환, 폐 질환(천식 포함), 신장 질환 혹은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병 증상을 지닌 성인 및 아동
  • 장기간 아스피린 치료를 받고 있으며 라이에증후군의 위험에 처한 6개월 – 18세의 유아 및 청소년
  • 호흡 또는 삼키는 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특정 근육이나 신경 장애(예, 간질발작증 혹은 극심한 뇌성마비)를 지닌 사람 혹은 기침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
  •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후천성 면역 결핍증(HIV/AIDS) 또는 기타 질병으로 인해, 또는 스테로이드같은 약품으로 장기간 치료를 받거나 또는 엑스레이 또는 약품으로 암 치료를 받음으로써 면역 체계가 약해진 사람
  • 양로원 및 기타 요양 시설에 장기적으로 거주하는 사람
  • 의료 직원
  • 가정 건강 담당자(어린이 포함) 및 5세 이하 아동과 50세 이상 성인의 의료 제공자, 특히 6개월 미만 유아의 담당자
  • 가정 건강 담당자(어린이 포함) 및 건강 상태로 인해 심각한 독감 합병증 위험이 높은 사람의 의료 제공자
  • 학령기 아동을 포함하여 독감 감염 또는 전파 위험을 줄이길 원하는 모든 사람

독감 백신은 안전한가?

  • 예. 대부분의 사람은 백신에 거의 또는 전혀 반응하지 않으며, 반응하는 사람도 1-2일 지나면 나아집니다.
  • 4명 중 1명이 백신을 접종한 자리가 약간 붓거나 빨개지거나 혹은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코를 통해 독감 백신을 투여한 사람은 콧물, 코막힘 및 목가려움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심한 부작용은 극히 드뭅니다.

어떤 종류의 백신이 있는가?

두 종류의 독감 백신이 있습니다: 주사 및 비강 분무형 스프레이.

  • 주사는 6개월 이상 연령의 사람 누구에게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신부 및 심한 독감 위험성이 증가되는 만성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는 주사가 최선의 방법입니다.
  • 비강 분무형 독감 백신(LAIV 또는 “Flumist”)은 2-49세 연령의 건강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좋은 방법입니다.
  • 다음에 속하는 사람들은 비강 분무형 독감 백신을 받아서는 안됩니다:
    • 천식 또는 반응성 기도병과 같은 만성적인 심장 또는 폐 질환이 있는 사람
    • 당뇨병 또는 신장 장애같은 질병이 있는 사람
    •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질병이 있는 사람 또는 면역 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는 약품을 섭취하는 사람
    • 임신부
    • 반복적으로 숨을 헐떡이는 2-5세 어린이
  • 독감 백신으로 독감에 걸릴 수는 없습니다.
  • 독감 백신 또는 비강 분무형 독감 백신에 대한 상세 정보 조회처:
  • 독감 주사 백신 정보: www.immunize.org/vis/2flu.pdf
  • 비강 분무형 독감 백신 정보: www.immunize.org/vis/liveflu.pdf

금년에 독감에 걸렸는데 내년에도 걸릴 수 있는가?

  • 예,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바뀌지만 인체의 면역 체계는 변형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막을 수 없습니다. 때문에, 해마다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해마다 독감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타입의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 새로운 독감 백신이 개발됩니다.
  • 독감 백신은 세 가지 타입의 독감을 예방하는데, 두 가지의 독감 A와 한 가지의 독감 B를 예방합니다.

Updated: Wednesday, December 26, 2007 at 03:40 PM

All information is general in nature and is not intended to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ppropriate professional advi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all 206-296-4600 (voice) or TTY Relay: 711. Mailing address: ATTN: Communications Team, Public Health - Seattle & King County, 401 5th Ave., Suite 1300, Seattle, WA 98104 or click here to email us.

King County | Public Health | News | Services | Comments | Search

Links to external sites do not constitute endorsements by King County.
By visiting this and other King County web pages, you expressly agree to be bound by terms
and conditions of the site. The details.